이론적 논의
-
다미주이론은 자율신경계 내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계 신경회로들이 외부 세계에 대해 어떻게 순차적으로 반응하는지에 대한 위계를 제시함
-
더 진화된 회로들이 덜 진화된 회로들을 억제함
-
가장 오래된 신경계 : 부교감신경계 중 횡경막하 미주 신경(=등쪽 미주신경)
수초화되지 않음
방어 상황에서 사람을 셧다운 시키는 기능
많은 파충류의 방어 전략과 유사(얼어붙는 부동화 상태)
-
두번째로 오래된 신경계 : 교감신경계
도전/도피행동 지원
-
가장 최신의 신경계 : 횡경막상 미주신경(=배쪽 미주신경)
사회적인 상호작용 연출
-
자율신경균형을 통한 항상성 유지 지원
-
예시) 트라우마 이력이 있는 다수의 내담자들이 위장질환이나 변비 등 소화기 계통의 문제를 가지고 있다. 이는 이 회로가 방어 상태로 전환되어 그것이 항상성을 지원하는 역할을 방해하기 때문
-
-
-
교감신경계와 부교감 신경계의 상호 작용
생명의 위협에 대한 반응으로 횡경막상 미주신셩과 교감신경계가 모두 하향조절됨
즉, 횡경막하 미주신경이 방어에 동원되도록 해줌(죽은 것 같은 부동화 상태)
이 때 반사적인 혈압저하로 의식을 잃을 수 있고, 잠재적인 등쪽 미주신경의 흥분으로 배변을 초래하기도 함
-
출처) 다미주이론, 2017, 스티븐 W. 포지스, 위즈덤하우스
임상적 활용
-
트라우마와 만성학대에서 살아남은 사람들에게 그들이 겪고 있는 증상은 적응하여 생존할 수 있도록 해주는 신경 조절체계의 기능적인 결과라는 점을 알려주는 것이 중요함
육체적인 상처와 뼈아픈 고통을 최소화하기 위해 반격하지 않고 부동화와 해리로 반응한 것일지도 모름.
부동화는 추가적인 공격을 유발하지 않기 때문에 매우 적응적일 수 있음
-
어떤 신체 반응은 반사적이며 자발적이지 않다는 것을 잊으면 안됨
생명의 위협에 대한 반응으로서 부동화는 몇몇 다른 포유류와도 공유하는 흔한 '반사적' 반응임
우리 사회는 싸우지 않거나 효과적으로 가동화하지 않는 사람들에 대해 그들이 마치 문제가 있는 것처럼 여김. 다미주 이론을 알면 그러는 대신 이렇게 말할 것 "당신이 아무 반응도 하지 않은 것은 신경생물학적으로 최고의 적응적 반응이고, 당신의 몸이 당신을 위해 그런 결정을 한 것은 행운입니다. 당신이 싸웠다면 죽었을 수도 있습니다"
-
"당신은 당신이 알고 있는 최선의 방법으로 살아남았습니다"라고 말해주는 것은 그들이 정말로 이해받았다고 느끼고 스스로를 옹호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임. 아마도 그들은 그것을 축하하거나 자신들이 가진 용기를 존중할 수 있을 것.
-
출처) 다미주이론, 2017, 스티븐 W. 포지스, 위즈덤하우스
-
-
자폐아동에 대한 생물행동학적 상태 조절을 향상해주는 신경훈련
1) 경청 프로젝트 프로토콜 : 컴퓨터로 변환한 음악을 사용하여 청각 과민성을 줄이고 행동과 생리적 상태를 안정시킴. 이 치료적 개입은 사회 참여 행동이 자발적으로 생겨날 수 있는 생리적 상태에 머물도록 도와줌
2) 바이오피드백 기업 : 심장박동 조절을 개선하고 호흡을 안정시키는 전략. 심장박동 조절을 향상함으로써 아이들은 분노발작이나 반항적 행동과 같이 학습 방해 행동들에서 보이는 생리적 상태의 기복을 하향조절하고 평온해질 수 있음
-
즉, 신경계가 반응하는 방식이 개별적으로 다르다는 것을 존중하는 문화가 필요
-
출처) 다미주이론, 2017, 스티븐 W. 포지스, 위즈덤하우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