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16일 모임 안내]

주제 : 시민참여연극을 활용한 ‘시민참여연구’는 무엇일까?

: 서로 다른 분야처럼 보이는 ‘시민참여연극’과 ‘시민참여연구’에서 모두 이론적 바탕이 되고 있는 파울로 프레이리의 ‘페다고지’를 바탕으로 그 가능성과 필요성을 탐색해보자!

#워크숍을 준비하며

“시민참여연극을 활용한 시민참여연구”라는 분야가 이미 만들어져 있는 분야라기 보다는 우리가 만들어 가야하는 분야이고 주제라고 생각합니다. 다시 말해서, 해당 분야가 이미 존재해서 그에 대해 사례나 이론을 살펴보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기존의 분야들(‘페다고지’ 교육 철학, theatre for living, 연극치료 등) 속 에서 서로 연결할 수 있는 요소를 찾고, 접목시켜서 우리가 “시민참여연극을 활용한 시민참여연구”라는 주제(혹은 분야)를 같이 만들어보고, 그 가능성을 실험해보는 과정이라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1차모임 때는 ‘시민참여연구’에 초점을 두고 관련 자료를 살펴보고 토론을 하고, 2차 모임때는 ‘시민참여연극’에 초점을 두고자 합니다. 그래서 2차 모임 후에 “시민참여연극을 활용한 시민참여연구”에 대해서 우리 모임에서 공통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를 찾아보고자 합니다.

이를 위하여 이번 1차 워크숍은 참가자 분들의 생각의 교류가 일어나도록 준비할 것입니다. 이에 첨부드린 ①여는 글, ②이론이야기, ③철학이야기, ④이론이야기-2 (4개 모두를 다 읽으면 물론 좋겠지만 바쁘신 분들은 선호도에 따라 2개만 읽어도 됩니다:) 를 읽어 보시고

Q. 어떤 부분이 인상깊으셨는지? 그 부분이 인상깊은 이유가 무엇인지?

에 대해서 300자 이상 글을 작성하여 이메일(adrtree@hanmail.net)로 보내주시거나 직접 네이버 카페(원할한 자료 공유를 위해 카페를 개설했어요~ https://cafe.naver.com/tary )에 가입 후 올려주시길 바랍니다! (2월14일까지).

★이번 모임에 참석하시지 못하는 분들도 공유드린 자료를 참조해주시고, 가능하다면 온라인으로나마 자유롭게 생각의 협동을 해보아요! 1차 모임 때 온라인으로 의견 주신 것을 같이 나누고, 또 모임 기록을 정리해서 공유 드리고자 합니다.

어느덧 설날이네요~~!

모두 평안한 설연휴되시길 바랍니다.

혹시 궁금하신 것 있으면 언제든지 편하게 연락주시구요~^^

감사합니다.

쏭 드림.

여는_글.docx 16.4 KB
다운로드
이론이야기_2_CBPR.docx 28.3 KB
다운로드
철학이야기_페다고지.ver.3.0docx.docx 49 KB
다운로드
이론이야기_모모.docx 28.5 KB
다운로드
The Art and Research With You : 네이버 카페
CAFE.NAVER.COM 원글보기